[핸즈온 머신러닝] 입력 데이터 stream 방식에 따른 머신러닝: Batch learning vs Off-line learning
·
카테고리 없음
AI모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당 Task의 환경이 변하는 경우, 모델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이를 Data Drift라고 부른다.따라서 Data Drift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or 추가적인 학습이 필요할 때가 있다!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입력 데이터 stream 방식에 따라 구분되는 배치 학습, 온라인 학습과 같은 방법들이 있다.Batch Learning(배치 학습)학습할 때마다 가용한 데이터를 모두 사용하는 학습 방식 특징전통적인 학습 방식일반적으로 시간과 자원을 많이 소모저장된 데이터로 학습하기 때문에 오프라인 방식, 오프라인 학습(Off-line Learning)이라고 불리기도 함새로운 데이터를 학습하려면, 매 번 전체 데이터를 처음부터 다시 학습 해야 함비교적 시간⇡, 비용..
[핸즈온 머신러닝] 학습 방식에 따른 머신러닝: 지도 학습, 비지도 학습, 준지도 학습, 자기지도 학습, 강화 학습
·
Data Science/핸즈온 머신러닝
지도 학습 (Supervised learning)훈련 데이터에 Label을 포함하여 학습시키는 방식-> 정답을 같이 제공하여 모델이 학습 Example분류(Classification)회귀(Regression)비지도 학습 (Unsupervised learning)훈련 데이터에 Label을 포함하지 않고 학습하는 방식-> 알고리즘이 스스로 패턴 탐지 및 학습 Example군집화(Clustering)차원 축소(Dimensionality Reduction)이상치 탐지(Outlier Detection)준지도 학습 (Semi-supervised learning)학습 데이터에 label이 일부분만 있는 데이터로 학습하는 방식 ExampleGoogle photo: 가족 사진을 모두 올리고 사람마다 label을 하나만 ..
인공지능이란?
·
Data Science/ML & DL
인공 (Artificial)사람이 하는 일사람의 힘으로 만들어 내는 일. 곧, 사람이 자연물에 대하여 가공하거나 작용을 하는 일. 인위. 지능 (Intelligence)새로운 사물 현상에 부딪쳐 그 의미를 이해하고 처리 방법을 알아내는 지적 활동의 능력. "~이 발달하다"지혜와 재능 인공 지능 (Articial Intelligence)새로운 사물 현상에 부딪쳐 그 의미를 이해하고 처리 방법을 알아내는 사람의 힘으로 만들어 낸 지적 활동의 능력인간처럼 학습하고 생각할 수 있느 컴퓨터 시스템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인간의 학습능력, 추론능력, 지각능력, 자연어의 이해능력 등 모든 지능적인 행동들을 모방 인공지능은 어떤 기술로 구성되어 있나? 인공지능은 지각, 학습, 추론의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Applia..
[혼공머] 01-3. 마켓과 머신러닝
·
Data Science/혼자 공부하는 머신러닝
생선 분류 문제 한빛 마켓에서 팔기 시작한 생선: ['도미', '곤들매기', '농어', '강꼬치고치', '로치', '빙어', '송어']-> 이 생선들을 프로그램으로 분류하려고 한다.# 생선 길이>30cm -> '도미'라고 분류한다면?if fish_length >= 30: print('도미') 하지만 생선길이>30cm인 생선이 무조건 도미라고 할 수 없음. 일반적인 프로그램: '누군가 정해준 기준대로 일함머신 러닝(ML: Machine Learning): 누군가 알려주지 않아도 알아서 기준을 찾아서 일함 결론: 머신러닝 기법을 통해 생선의 길이, 무게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류해보자!'도미/빙어 분류'와 같이 두 가지 클래스(class)로 분리 하는 것 -> 이진분류(Binary Classificatio..
HaSeon9
'머신러닝' 태그의 글 목록